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박물관
- 갤럭시 핏3
- 태블릿 리눅스
- BSC100S
- 한강
- 여행
- 가족여행
- ubuntu 24.04
- 한강 라이딩코스
- 아마추어무선
- 제주도
- 대만
- 딸래미
- 어린이
- ARM
- 캠핑
- 갤럭시 핏2
- 휴양림
- cross compile
- 도쿄
- iGPSPORT
- 스마트폰 리눅스
- 크로스 컴파일
- atlas os
- FT-8
- Termux
- 일본
- 페루
- 체험학습
- 둠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16)
주희아빠의 헝그리 라이딩

2024.4.3 사건의 시작.올겨울 어느날. 까페에서 잠시 시간을 보낼 일이 생겼습니다. 가볍게 노트북을 챙겨들고 까페에서 커피를 주문하고 자리를 잡고 노트북의 전원을 켰습니다. 그런데 왠걸? 노트북의 화면이 꿈쩍도 안합니다. 분명 집에서 가득 충전을 시켜 놓은 상태였는데 이상합니다.알리산 배터리를 DIY 로 교체한 것이라서 혼자서 온갖 생각을 다해봅니다. '이래서 알리발은 안되는거야.', '날씨가 추워서 배터리가 맛이 간것인가?' 등등. 어뎁터도 가지고 갔지만 전원선 연결이 가능한 명당은 이미 만석이고 자리가 나지도 않는군요.그렇게 까페에서는 그냥 노트북만 펴 놓고 있다가 집에 와서 전원선을 연결해 보니 노트북은 잘 동작합니다. 게다가 배터리 충전도 100% 라고 나옵니다. 뭐니??? 참고 링크.[L..

2024.2.26.이전부터 가끔 생각날 때마다 정리했던 내용인데 이번 기회에 게시글로 열어봅니다. 개인적인 경험이 많이 들어가서 살짝 민망하기도 하지만 옛날이야기로 들어주십시오.초등학교(사실은 국민학교) 2학년 정도로 기억합니다. 도서관에서 '마이컴이 온다' 이런 책들을 보며 미래에는 컴퓨터라는 것이 사용될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 무렵 '고려 컴퓨터' 라는 곳에서 가정용 '타미컴' 이라는 것을 보급하기 시작했고 어느 전시장에선가 보고 대형 브로마이드를 가져와서 집에서 열심히 읽어보던 기억이 납니다. 기억에는 아직 PC(개인용 컴퓨터)라는 말은 없었고 그래서 '마이컴' 이라고 불렀던 것 같습니다. 실제로 저에게 첫 컴퓨터가 생긴 것은 그로부터도 한참 후인 시점이었습니다. 1. Apple II..

2025.2.7 추가.2025년 2월부터 안드로이드 7.1 이하에서는 유튜브 앱을 더이상 지원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트레기의 생명 연장을 위해서는 리니지롬(18 오레오기반)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할까 조사해보니. trek2 에서 리니지 18버전은 beta 였다가 종료된 상태이며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재료중 jasmine-twrp-7.1-3.2.3-r1.img 을 도저히 구할 수가 없어서 진행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혹시라도 이 파일 가지고 계신분은 전달 좀.. 굽신...)찾다보니 안드로이드 7.1 에서 Youtube vanced 같은 앱으로 사용이 가능했다는데 지금은 vanced 자체도 개발이 중지되었으며 이후 몇가지 대체제가 소개되고 있으나 여기까지만 확인하고 이제는 trek2 는 그만 보내주려고 합니다...

2022년~2023년 어느날.자전거 관련 유튜브를 보다보면 한강 코스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곳중 한 곳이 바로 '반포 GS25' 편의점입니다.일명 '반지에스' 라고 불리우며 자전거 동호인들의 만남의 장소 혹은 먼 길을 떠나기전 출발 장소로도 유명합니다.안양천 합수부를 지나서 성산대교와 한강 철교의 멋진 모습을 지나게 됩니다. 여의도 한강 공원도 지나서 좀 멀리 가야 합니다. 중간에 동작대교 위에 있는 카페에서 멋진 한강뷰를 구경하실 수도 있습니다. 자전거를 아래 묶어 놓고 올라가야해서 비싼 자전거 타시는 분들께는 추천하지 않습니다.이렇게 도착한 'GS25 한강 반포 2호점' 입니다. 이곳에 처음 오셨다면 그 유명한 편의점 '한강라면' 을 끓여 먹어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작년에 문을 닫고 지금은 리모델..

2022년~ 2023년 어느날. 자전거를 타면서 한강이 가까이 있다는 것은 큰나큰 행운이며 자전거를 타기에는 정말 좋은 조건중 하나입니다. 제가 사는 동네에서 한강까지 가는데만 13km 정도로 아주 가깝다고는 할 수 없지만 일단 한강쪽으로 나가기만 하면 쭉 뻗은 자전거 도로를 이용해 동쪽과 서쪽으로 쉽게 오갈 수 있습니다. 그 한강으로 나가는 첫 관문이 바로 '한강 안양천 합수부' 입니다. 자전거를 타시는 분들은 일명 '안합' 이라고 부릅니다. 어디를 가든 지나치는 곳이기 때문에 사진도 많이 있네요. 낮뿐만 아니라 밤에도 너무 멋 있습니다. 장거리 라이딩에 도전한 날이어도 안합까지만 도착하면 집에 거의 다온 듯이 편하게 느껴집니다. 안합을 지나면 곧바로 성산대교를 지나게 됩니다. 평소 가볍게 자전거를 타..

2023년 6월 18일한강에 노들섬이라는 곳이 있다고 듣고 한번 가보기로 했습니다. 초행길이라서 카카오 맵에서 '노들섬' 을 찍고 열심히 달리다 보니 저 건너 노들섬이 보이는군요. 한강 대교 중간에 있는 이렇게 생긴곳을 찾아가야 하는데... 카카오맵에서 '노들섬' 을 찍고 갔는데 쌩뚱맞게도 강변에 있는 '노들섬 간판' 으로 안내를 해줘 버렸습니다.혹시 이용하실 분들은 X 길로 가지말고 O 를 이용하면 됩니다. 서쪽에서 오시는 분은 한강대교 지나기 전 분기점에서 우측으로 빠져서 다리위로 올라오면 됩니다.저는 이렇게 생긴 계단으로 자전거를 들고 내려왔습니다. ㅠㅠ. 위에 지도에 O 표시로 따라가면 길 좋은 입구와 경사로도 있습니다. 덕분에 노들섬 강가도 구경하고 반대쪽 길로 올라갔습니다. 처음 사진의 장소도..

2023년 5월 23일오늘은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서울함' 과 '스타벅스' 등이 있어서 방문을 했습니다.양화대교를 통해 건너왔습니다. 남단에는 엘리베이터가 있고 북단에는 계단/ 경사로 가 있습니다. 서울함을 보고 왜 한강에 전함이 있지? 를 궁금해한것이 아니라'저거 바닷물이 아니고 민물에서 떠다니네? 괜찮나?' 하는 말도 안되는 생각. 물고기냐???? ㅋㅋ스타벅스 망원한강공원점은 전망은 좋은데 매장안이 약간 시끄럽게 느껴집니다. 시원한 커피 한잔 마시면서 오리배도 구경하다가 나옵니다. 집에 돌아가는 길은 지난번 건너본 가양대교를 이용했습니다. 안양천 합수부 그늘에서 쉬는데 여기가 평화롭고 좋네요. ㅎㅎㅎ 모두들 안전 라이딩하세요.

2023년 5월 1일한강 동쪽인 팔당에 '초계국수' 가 있다면 한강 서쪽 행주대교 건너에는 '행주국수' 가 있습니다. 사실 처음 가는 곳이라 어디가 유명한지 몰라서 그냥 카카오네비를 찍고 갔습니다.덕분에 행주대교도 처음으로 건너가 보았습니다. 행주대교는 엘리베이터 이용없이 건너갈 수 있더군요. 야심차게 찾아간 '원조 국수' 집은 월요일이라 정기휴일이라는군요. 잠시 실망했지만 바로 뒤에 '행주국수' 가 있어서 이곳으로 갔습니다. 기본 잔치국수가 6천원인데 면발이 신기하게 탱글거리는 느낌이네요. 양이 무척 많습니다. 돌아오는 길은 네비가 가양대교를 넘어가라고 알려주네요. 가양대교는 올라갈 때 내려갈 때 모두 엘리베이터 이용합니다. 덕분에 오늘도 새로운 코스를 라이딩해 봤습니다.이제는 헤이리와 임진각까지 ..

2024.1.20 최근에는 FT-8 교신을 못하고 있지만 3년전 정리했던 글의 후속 테스트 사항이었는데 이제서야 추가로 기록합니다. 지난글은 여기에서. https://multitab.tistory.com/255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 '야외에서 FT-8 운영하기'를 위한 사전작업 2탄. 2023.10.13 아마추어 무선. 그중에서도 FT-8 을 열심히 하던 어느 때. 집에서는 안테나의 한계가 있어 야외로 짐을 싸들고 나가면 어떨까 고민하던 때입니다. 어느덧 3년이나 지났군요. 1탄 참고... htt multitab.tistory.com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FT-8 을 야외에서 운영할 날을 고대해 보면서 몇가지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1. WSJT-X 사용이 가능한 최소 해상도는 얼마일까요? 2. 인터넷..

2024.1.19docker 를 아시는 분들은 이 이미지가 익숙하시지요.네모 반듯한 컨테이너가 차곡차곡 쌓여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은 docker 를 이용해 패키징하면 컨테이너처럼 네모 반듯한 모양으로 구성될 거라는 생각이 들게됩니다.하지만 사실 docker 의 개념은 고래위에 쌓인 컨테이너가 아닙니다. 그 컨테이너 안이 어떻게 생겼냐가 뽀인트입니다.실제로 보면 docker 의 개념은 다음이 더 정확하지 않나 싶습니다.방은 하나 뿐인데 그 방에 철망이나 천조각을 막아서 칸을 잘게 나눈 것이지요. 그래서 화장실이나 부엌은 하나 뿐인데 나눠써야 하고 그나마 잠자리만 겨우 독립을 시켜 놓은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작은 칸 중 하나에 apache 가 돌고 있는 프로세스가 자리잡고 또 다른 한 곳에는 to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