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에서 FT-8 운영하기' 를 위한 사전작업 1.5
2024.1.20
최근에는 FT-8 교신을 못하고 있지만 3년전 정리했던 글의 후속 테스트 사항이었는데 이제서야 추가로 기록합니다. 지난글은 여기에서.
https://multitab.tistory.com/255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 '야외에서 FT-8 운영하기'를 위한 사전작업 2탄.
2023.10.13 아마추어 무선. 그중에서도 FT-8 을 열심히 하던 어느 때. 집에서는 안테나의 한계가 있어 야외로 짐을 싸들고 나가면 어떨까 고민하던 때입니다. 어느덧 3년이나 지났군요. 1탄 참고... htt
multitab.tistory.com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FT-8 을 야외에서 운영할 날을 고대해 보면서 몇가지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1. WSJT-X 사용이 가능한 최소 해상도는 얼마일까요?
2. 인터넷이 없어도 FT-8 하는데 문제가 없을까요?
3. JTAlert 없이도 운영이 가능할까요?
4. 그렇다면 log4om 도 없어도 될까요?
차근 차근 하나씩....
1. WSJT-X 사용이 가능한 최소 해상도는 얼마일까요?
당연히 큰 화면이거나 듀얼 모니터면 더 많은 정보를 담을수 있어 좋겠지만 야외에서 작은 기기를 사용한다면 얼마정도로도 가능할지 궁금하여 시험해 봤습니다. 항상 그렇듯 WSJT-X 를 기준으로 합니다.
1-1. 640 x 480
PC 에서 설정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해상도로 640x480 을 골라 봤습니다. 물론 이보다도 작은 화면해상도의 장비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최근에는 거의 보기 힘들 것이라 생각합니다.
나올때부터 후졌던 제 오래된 넷북(LG X110) 도 1024x600 은 되고 5~7인치 라즈베리파이 LCD 도 800x480 이군요.
아래 최소의 정보로 충분히 실제 운영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많이 답답하네요.
CQ 정보만 표시하도록 체크해 주고, Menus 는 안보이도록 해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x72dF/btsDHpBocJw/VymLiHZSKKL6COkMkHc5B0/img.png)
1-2. 800 x 600
한단계 위인 800x600 입니다. JTAlert 도 띄울 수 있고 조금 더 표시되는 정보량이 늘어나서 훨씬(?) 쾌적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oWDv6/btsDHp2LdkG/yr9OZTkI2orbTKR4ataHc1/img.png)
1-3. 1364 x 768 - 현재 제가 사용하는 화면입니다.
WaterFall 그래프가 한눈에 보이면 좋겠지만 주파수 지정할 때나 어느정도 수신되는지 보고 싶을 때 가끔씩만 사용하므로 큰 불편은 없습니다. 화면 우측 하단에 모니터링용 웹캠 화면도 띄워 놓을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EVIh/btsDHp2Ldmg/EQnam81LGCKPXpN6KkSDB0/img.png)
결론. 요즘 나오는 노트북은 최소 1024x768 이상의 해상도이므로 큰 불편은 없으실 겁니다.
혹시라도 노트북외 다른 화면을 고려중인 분들은 작은 화면에서는 어느정도로 나오겠구나 참고만 해주십시오.
2. 인터넷이 없어도 FT-8 하는데 문제가 없을까요?
사실 FT-8 은 무전기를 통한 통신이므로 꼭 인터넷이 필요할 이유는 없습니다.
실제로 교신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었고 몇가지 불편한 부분이 보였습니다. 시험을 위해 집 공유기 인터넷을 막았습니다.
2-1. 시간 서버 동기화 불가
![](https://blog.kakaocdn.net/dn/NChfi/btsDLunFHCw/xIIEb3iPyqmKmtOQwHvcS1/img.png)
보통은 인터넷을 통해 시간을 자동으로 동기화 시켜주는데 인터넷이 안되는 경우 자동으로 시간을 맞춰주지 못했습니다.
운영전에 PC 시간을 수동으로 시간을 맞추거나 잠시 휴대폰으로 테더링을 통해 시간을 맞추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2-2. 실시간 로그 업로드 불가
사실 로그를 실시간으로 올릴 필요는 없으니 큰 문제는 아닙니다.
저는 Log4om 을 사용하는데 나중에 인터넷 될 때 일괄로 올리면 됩니다.
ESQL 과 LOTW 는 QSL Management 에서 한번에 올릴 수 있으며 Clublog 는 OSO Manager 에서 하나씩 찍어서 올려도 됩니다.
2-3. 부가적으로 pskreporter.info 에 정보를 주거나 웹사이트를 볼 수는 없습니다.
또한 교신하는 틈틈히 ORZ.com 을 열어보며 상대방이 누구인지 찾아보는 재미도 솔솔한데 이것을 못하네요.
3. JTAlert 없이도 운영이 가능할까요?
WSJT-X 를 이용하는 교신에서는 현재 수신되는 콜싸인과 이전 교신 여부 등을 한눈에 쉽게 알아 볼 수 있는 JTAlert 의 사용은 필수입니다.
다만, 호환성 여부나 기타 다른 이유 등으로 JTAlert 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원래 WSJT-X 의 기능만으로도 충분히 운영할 수 있습니다.
Settings - General 에서 Display 부분에 Show DXCC, grid, and worked-before status 부분에 체크해 주면 됩니다.Blank line between decoding periods 에 표시하면 한턴에 들어오는 콜들을 묶어서 보여주므로 편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ZlNl/btsDKcVk679/XJJIAkzVMjfeRrasBcqrM0/img.png)
그러면 아래처럼 나오는데 이전 교신이력이 있으면 회색으로 표시됩니다.
중간중간 ---------------------- 로 구분해서 보여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k5690/btsDLrYM4KU/rQIYkfq58qTOkqI3kM7wyK/img.png)
4. 그렇다면 log4om 도 없어도 될까요?
어차피 WSJT-X 가 사용하는 wsjtx.log 나 wsjtx.log.adi 를 이용할테니 일반적인 교신과 B4 교신 여부도 구분이 가능할 듯 합니다. 나중에 집에 와서 일괄로 log4om 쪽으로 옮기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즉, 교신을 위해서는 최소 WSJT-X 만 있으면 되겠네요.
야외에서 FT-8 을 운영할 수 있는 때가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꾸준히 준비해 봅니다.